건설 관련 썸네일형 리스트형 복도 너비의 기준 알아보기 건축물의 복도 건축물의 복도는 용도와 면적에 따라서 유효 너비의 기준을 정해놓고 있습니다.건축법 시행령 제48조와 피난방화규칙 제15조의2에서 복도의 설치 기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건축법 시행령 제48조(계단 · 복도 및 출입구의 설치) ① 법 제49조제2항 본문에 따라 연면적 200제곱미터를 초과하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 및 복도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등의 기준에 관한규칙제15조의2(복도의 너비 및 설치기준)① 영 제48조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설치하는 복도의 유효너비는 다음 표와 같이 하여야 한다.구분양옆에 거실이 있는 복도기타의 복도유치원 · 초등학교중학교 · 고등학교2.4미터 이상1.8미터 이상공동주택 · 오피스텔1.8미터 이상1... 더보기 접도구역 제한된 건축행위 알아보기 접도구역이란?접도구역은 도로법에서 그 내용을 정하고 있는데요.접도구역이 무엇인지 어떤 제한조건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접도구역주체도로관리청목적도로 구조의 파손 방지, 미관의 훼손또는 교통에 대한 위험 방지지정 범위소관 도로의 경계선에서 5미터(고속국도의 경우는 30미터)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지정 제외다음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접도구역을 지정하지 아니할 수 있음 ① 도로관리청이 법 제40조제1항에 따라 접도구역(接道區域)을 지정할 때에는 소관 도로의 경계선에서 5미터(고속국도의 경우는 30미터)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지정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접도구역을 지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더보기 착공신고 과정 및 연기 신청하는 방법 착공신고서 제출주체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한 건축물의 공사를 착수하려는 건축주는제출 서류착공신고서(별지 제13호서식, 전자문서 포함)에 다음의 서류 및 도서를 첨부하여 허가권자에게 제출1. 건축관계자 상호간의 계약서 사본(해당사항이 있는 경우)2. 설계도서(건축규칙 별표 4의2)다만, 건축허가 또는 신고를 할 때 제출한 경우에는 제출하지 않으며,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변경사항을 반영한 설계도서를 제출3. 감리 계약서(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4. 보험증서 또는 공제증서의 사본(건축사법 시행령」 제21조제2항)착공신고 시 준비서류는?1) 건축주허가조건에 명시되어 있는 세금 납부 영수증시공사, 감리자, 관계전문기술자, 설계의도구현 등의 계약진행2) 건축설계사무소세움터 작성 착공신고서설계 계약서사본실시설.. 더보기 콘크리트 수화열과 온도 균열 MASS 콘크리트란?콘트리트 부재 두께가 80cm 이상이거나 콘크리트 내외부 온도차가 25도 이상일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MASS 콘크리트라고 합니다. 매스 콘크리트의 1회 타설 높이는 1.5m 이내입니다.매스콘크리트의 품질 시방기준은?콘크리트 표준시방서 :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의 치수는 구조형식, 사용재료, 시공조건에 따라 슬래브 두께가 90~100cm 이상이고, 하단 구속되어있는 벽체의 경우 50cm 이상건축공사 표줌시방서 : 구조물의 크기가 100cm이상인 콘크리트 매스콘크리트 수화열 사례 / 종류에 따른 수화열수화열이란 콘크리트 배합 시 물과 시멘트가 수화반응하여 생성되는 열을 말합니다.수화열에 의한 열에너지를 관리하지 않으면 내외부 온도 차이가 발생하여 응력이 발생하면서 콘크리트 표면에 균.. 더보기 가설공사 종류 알아보기 1. 설치기준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58조 제4항 별표 14 세륜시설 설치기준을 준수한다. - 「별표 14」에 의해 수송차량은 세륜 및 측면 살수 후 운행하여야 한다. - 가설계획에 의해 세륜시설 위치 및 설치대수를 선정하여야 한다.2. 자동식 세륜시설 - 자동식 세륜기는 앞바퀴와 뒷바퀴를 별도로 세륜 하므로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 대당 세륜능력을 고려하여 대수 산정 시 참고한다. - 통상 토공사 시 일일사토처리량 1,800㎥ 당 1대로 계산 1) 자동식 세륜기의 종류 가. 롤 타입 - 롤러에 의한 차량 강제구동 - 세륜 성능이 우수, 도심지에 적합 - 경사지는 사용 불가 나. 그레이팅 타입 - 차량 자체 동력으로 전, 후진 .. 더보기 위반건축시 이행강제금 알아보기 이행강제금 산정기준주체허가권자 대상시정명령(건축법 제79조제1항)을 받은 후 시정기간 내에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건축주등 조건그 시정명령의 이행에 필요한 상당한 이행기한을 정하여 그 기한까지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이행강제금1. 다음의 이행강제금 부과 1) 건폐율이나 용적률을 초과하여 건축된 경우 또는 허가를 받지 아니하거나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건축된 경우: 「지방세법」에 따라 해당 건축물에 적용되는 1제곱미터의 시가표준액의 100분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에 위반면적을 곱한 금액 이하의 범위에서 위반 내용에 따라 다음의 비율을 곱한 금액가. 건폐율을 초과하여 건축한 경우100분의 80나. 용적률을 초과하여 건축한 경우100분의 90다.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건축한 경우100분의 10.. 더보기 베란다 발코니 차이점은? (ft.테라스와 데크)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데크 등 알아도 알아도 헷갈리는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다른 듯 비슷하고, 비슷한 듯 다른 위의 용어들을 구분해보려고 합니다.초보 건축주라면 용어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익힌다면 설계를 의뢰할 때 도움이 되겠죠?베란다(veranda)건축적 개념을 살펴보았을 때 베란다는 건축물의 실내에서 연결되어 밖으로 나온 부분을 뜻합니다. 상층 면적이 하층 면적보다 작게 건축되었을 경우, 아래층 지붕부분이 상층에 일부 남게 되는 부분을 활용한 공간을 바로 베란다 라고 합니다. 건물 외벽에서 연장해서 만들어지는 발코니와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발코니(balcony)/노대발코니발코니는 전망이나 휴식을 목적으로 건축물 외벽에 접하여 설치되는 공간을 뜻합니다.「건축법」 상 발코니로 인정되면 바.. 더보기 흙의 압밀 현상 알아보기 흙의 압밀현상흙의 압밀현상흙의 압밀이란 흙이 외부 하중에 의해 점차적으로 압축되면서 체적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흙은 고체 입자와 공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극에는 물과 공기가 채워져 있습니다.위 그림과 같이 장기간 외부 하중이 가해지면, 흙 입자 사이의 간극이 줄어들면서 물과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고, 흙의 체적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를 흙의 압밀 현상이라고 합니다. 압밀 현상의 특징흙의 압밀현상흙의 압밀이란 흙이 외부 하중에 의해 점차적으로 압축되면서 체적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흙은 고체 입자와 공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극에는 물과 공기가 채워져 있습니다.위 그림과 같이 장기간 외부 하중이 가해지면, 흙 입자 사이의 간극이 줄어들면서 물과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고, 흙의 체적이 감소..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9 다음